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37

과학이란 무엇일까? 과학이란 무엇일까? 현대사회는 과학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학교에서 많은 시간을 과학을 배우는데 쓰지만, 정작 과학이 뭐냐고 물어보면 말문이 막히는 경우가 많다. '과학적'이라고 하면 과학적이지 않은 것보다 뭔가 더 확실한 느낌이 들고, 현대사회는 과학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과학은 과연 뭘까? 과학의 정의? 과학은 쉽게 말해 과학적 방법론을 통해 얻어진 지식을 말한다. 하지만 이는 그래서 과학적 방법론이 뭔지 하는 의문을 여전히 우리에게 남겨준다. 그리고 과학적 방법론이라는 말을 듣는 순간 수업시간에 배웠던 고리타분한 이미지가 떠오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과학적 방법론은 전혀 어려운 것도 아니고, 지극히 상식적인 것이다. 과학적 방법론이란 뭘까? 과학적 방법론은 우리가 만약에 외계 .. 2021. 3. 19.
인플레이션이 뭘까? 왜 일어날까? 인플레이션이 뭘까? 왜 일어날까? 인플레이션이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상식 퀴즈를 풀때 흔히 나오는 용어일 정도로, 경제학에서도 그렇고 우리 주위에서도 흔히 찾아 볼 수 있는 흔한 현상이다. 그런데 인플레이션은 정확히 뭐고, 왜 일어날까? 인플레이션의 정의? 우리가 왜 신경써야 할까? 인플레이션은 한 마디로 전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것이다. 즉,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는 물건들(감자, 포도, 공책 등)의 가격이 모두 높아지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 한다. 50년전에는 100원이었던 짜장면이 현재는 5000원이다. 짜장면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품목의 가격은 50년전에 비해 몇 십배 상승했다. 인플레이션이 중요한 이유는 돈의 본질 때문이다. 우리가 2021년 현재 5000원을 가지고 있다면 할 수 있는게 많지 않다. 한 끼 식사를 하기도.. 2021. 3. 19.
수학을 꼭 공부해야 할까? 수학을 꼭 공부해야 할까? 나는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있다. 수학을 전공하고 있다는 것은 적어도 입학을 결심했을 당시에는 수학을 좋아했다는 것이고, (지금은 어떤지는 부디 묻지 말아 주길...) 그렇기에 다른 사람들도 수학의 즐거움과 유용함을 알아줬으면 한다. 하지만 전공생의 입장과는 별개로, 많은 사람들이 왜 수학을 공부해야 하는지 의문을 가지고, 수학을 정말 꼭 공부해야 하는지 묻는다. 나는 한 수학 전공생으로써 수학을 꼭 공부해야 할까를 나름대로 답해 보고자 한다. 나는 절대 수학계나 교육계를 대표하지 않으며, 어떠한 권위도 없다. 그냥 일개 개인의 생각일 뿐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꼭 공부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어떤 상황에서는 공부해야 하고, 또 어디까지 공부해야 할까? 일단 수학을.. 2021. 3. 19.
📖 부의 감각: 돈에 대해 우리가 하고 있는 오해 📖 부의 감각: 돈에 대해 우리가 하고 있는 오해 🐜 평점 : 2 / 5 (★★☆☆☆)요약우리가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인간이라면 구매할 물건이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이익(즐거움)을 위해 소비해야 한다. 하지만 인간은 그렇지 않다. 이 책은 어떤 심리적인 요인이 우리를 '합리적이지 않은' 소비를 하게 하는지 알아보고, 어떻게 하면 돈을 합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지 알려주는 책이다.돈은 가치를 나타내는 수단이다. 즉 한 사회의 부는 그 사회가 창출하는 가치를 모두 합한 것과 같아야 한다.그렇다면 우리도 소비할 때 그 물건이나 서비스가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가치를 보고 소비할까?그렇다고 답한 사람이 많을 것이고, 나 또한 완벽하지는 않지만 나는 가치를 보고 소비하는 편이라고 생각했다.하지만 이 책은 우리에게 내장된 다양한 심리적인 요인이 우리는 이런 합리적인 소.. 2021. 3. 18.
🇺🇸 독학으로 유학없이 토익 970점 맞은 영어 공부법 🇺🇸 독학으로 유학없이 토익 970점 맞은 영어 공부법 🐜 시작하며 오늘은 제가 어떻게 혼자 독학으로 유학을 하지 않고 토익 970점 (토플 98점)을 맞았는지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 방법이 모두에게 적합한 방법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런 저런 공부방법을 고민하고 계신 분이라면 참고 해 주세요 🙇 😡 너가 뭔데 영어 공부법을 말하냐? 한국에서 학교를 다니면서 영어권 국가에 한 번도 가지 않고, 학원에 한 번도 다니지 않고 토플 90점대를 받았습니다. (토익은 970점) 그 뒤로 더 공부해 미국 대학교에 진학했고, 원어민과 말한 경험이 많지 않음에도 미국 생활과 미국 대학 공부에 전혀 문제가 없었습니다. 또한 현재 이러한 영어 실력을 바탕으로 영어 학원의 강사로 알바를 하고 있습니다. 물론 저보다 영어를 잘하시는 분도 많습니다. 제 영어가 완벽한 것도 아닙니다. .. 2021. 3. 15.
아이폰 제스쳐에서 느낀 애플의 혁신적인 UI/UX 아이폰 제스쳐에서 느낀 애플의 혁신적인 UI/UX 애플과 구글의 차이점 애플과 구글은 매우 다른 철학을 가지고 있다. 언뜻 비슷해 보이는 두 회사지만, 구글은 많은 제품을 출시하고 유저들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제품을 개선해 나가고, 반응이 안 좋은 제품들은 빠르게 사장시킨다. 애플은 다르다. 애플은 "유저들은 스스로가 뭐를 원하는지를 모른다"라고 언뜻 오만해 보이게 생각한다. 하나, 이는 완전히 틀린 말도 아니다. 만약 회사들이 무조건 대중들이 원하는 것을 따랐다면 우리는 자동차 대신에 빠른 마차를 끌고 있었을지도 모르고, 무선 이어폰이 이렇게 빨리 대중화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물론 이어폰 단자를 제거하고 에어 팟을 출시한 건 많은 반발을 샀다.) 뿐만 아니라, 많은 제품을 출시하는 구글과 달리, 애플은 매우 소수의 제품군에 매우 소수의 제품을 출시한.. 2021. 3.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