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프로그래밍/⚙️ DevOps 8

☁️ AWS에서 무중단 배포 구현하기 ☁️ AWS에서 무중단 배포 구현하기 목표Cloud의 편리함은 최대한 누리면서 AWS에는 종속되지 않게무중단 배포를 구현한다 사실 무중단 배포를 구현하는 거 자체는 간단합니다. 새로운 버전의 서버를 미리 띄워 두고, Health Check를 해서 괜찮으면 트래픽을 전환한다... 하지만 이걸 구현하기 위해 내려야 할 여러 기술적인 결정은 단순하지 않습니다.오늘은 진작에 접었어야 했지만 접지 못 해 계속 하고 있는 제 포트폴리오 사이트 책잇아웃의 무중단 배포를 AWS와 Github Actions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했던 여러 기술적인 결정들과 배운 것들을 기록해 보겠습니다.현재상황 (시작점)🐜 AWS 구조현재 상황은 ELB (Elastic Load Balancing)가 가장 앞단에 있어 트래픽을 받는 구조입니다. ELB에는 Public IP .. 2024. 11. 22.
다양한 배포 전략 비교 (카나리, 블루그린, 롤링, 그림자) 다양한 배포 전략 비교 (카나리, 블루그린, 롤링, 그림자) 배포에서 중요한 것유저에게 배포가 나갔는지도 모르게 하는 것 규모가 작거나 복잡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배포에 대해 크게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그 시간에 MAU를 늘릴 생각을 하는게 더 이득일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많고 (카프카, 배치 등) 잠깐의 중단도 비즈니스에 악영향을 주는 환경에서는 배포 자체에 많은 리소스를 쓰게 됩니다. 🐜 무중단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새벽 시간에 점검을 한다고 하고 배포하는 일도 흔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어떤 서비스를 쓰든 배포를 한다고 점검을 걸고 서비스를 중단하는 일이 매우 적어졌습니다. 배포의 중요한 소양이 무중단이기 때문입니다. 말 그대로 서비스를 1초도 중단하지 않고 새로운 버전을 내야 합니다.🐜 쉬운 롤백이상적으로는 모든 배포는.. 2024. 8. 24.
ES, Kibana, Grafana, Prometheus, Thanos, Logstash 사이의 관계 이해하기 ES, Kibana, Grafana, Prometheus, Thanos, Logstash 사이의 관계 이해하기 모니터링 (Monitoring)과 로깅 (Logging)개인 프로젝트를 할 때와 실제 회사에서 제품을 운영할 때의 가장 큰 차이점은 모니터링과 로깅입니다. 회사에 가서 처음 들어보는 여러 모니터링과 로깅 기술들을 보며 굉장히 당황했는데요. 키바나, ES, 타노스 (마블의 타노스...?), 프로메테우스... 이런 용어들이 섞인 대화를 이해하는 데는 시간이 걸렸습니다.이 로깅과 모니터링 도구들의 관계를 간단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로깅(Logging)이 뭐야?내 프로그램이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당연히 원인을 찾아서 고쳐야 합니다. 근데 이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단서가 있어야겠죠? 보통 이런 단서는 이 에러가 발생하기 전에 어떤 동작들이 있었는지, 이 에러가 발생한 당시의 여러 상태나 값들은.. 2024. 2. 27.
Logback 간단하게 알아보기 Logback 간단하게 알아보기 Logback이 뭐 하는 걸까? Logback은 Java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Logging 라이브러리입니다. Logback Home Logback Project Logback is intended as a successor to the popular log4j project, picking up where log4j 1.x leaves off. Logback's architecture is quite generic so as to apply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At present time, logback is divided into three mod logback.qos.ch Logback의 간단한 구조 Logback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Logger.. 2023. 10. 1.
Git 파일의 Life Cycle 이해하기 Git 파일의 Life Cycle 이해하기 Git을 사용한지는 오래됐지만, Git을 엄밀히 공부하고 사용한 것은 아니였습니다. 그러던 와중 Git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협업 과정에서 문제를 몇 번 겪게 된 뒤로 Git을 이해하고 사용해야 겠다고 결심해 첫 단계로 Git으로 관리되는 파일들의 Life Cycle를 공부했습니다. Untracked -> Tracked Git으로 한 번도 관리되지 않은 상태의 파일은 Untracked 상태에 놓여 있습니다. 1번이라도 add, commit을 하면 Tracked 상태가 됩니다. git add를 하면 생기는 일 .git 내부에는 2가지의 영역이 있습니다. Staging Area와 Repository 입니다. git add를 하면 파일이 Staging Area로 이동됩니다. 여러개의 파일 혹은 파일의 일부분을.. 2023. 6. 29.
쿠버네티스가 뭘까? 작동원리, 아키텍처 정리! 쿠버네티스가 뭘까? 작동원리, 아키텍처 정리! 쿠버네티스 (Kubernetes, K8S)가 뭘까? 컨테이너(Container)를 관리해 주는 소프트웨어 IT 업계가 하나의 큰 서버를 여러개의 마이크로서비스로 나누면서, 각각의 마이크로서비스가 독립적으로 작동할 필요가 생겨, VM보다 가벼운 컨테이너를 사용하게 됐습니다. 처음에는 수동으로 관리하거나, Docker Compose 같이 간단하게 관리하는 것으로 충분했지만, 점점 컨테이너들의 복잡도가 증가하면서 쿠버네티스를 사용해 컨테이너를 관리하게 됐습니다. 컨테이너는 보통 Docker를 떠올리지만, 쿠버네티스는 Docker를 포함해서 Containerd, CRI-O, rkt도 지원합니다. 쿠버네티스에 관한 흥미로운 사실들 구글에서 처음 개발했습니다. Golang이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개발 됐습니다. 전.. 2023. 4. 2.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에 쓰이는 알고리즘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에 쓰이는 알고리즘 Load Balancer란?서버의 트래픽(요청)을 분산시키는 장치우리가 컴퓨터에 너무 많은 프로그램을 켜 놓으면 느려지고, 최악의 경우 블루스크린이 뜨며 작동을 중지하듯, 서버 또한 너무 많은 요청을 받으면 부담이 됩니다. Load Balancer는 부하(Load)를 밸런싱(Balance)해 주는 장치를 말합니다. 네이버 홈페이지를 생각해 보면, 하루에 네이버를 찾는 사람이 1000만명은 될 겁니다. 이 모든 요청은 1개의 서버가 받는다면 네이버 홈페이지는 터지는게 일상일테지만, 로드 밸런서가 한 요청은 춘전의 데이터센터에 보내고, 한 요청을 서울로 보내는 식으로 분산시킨다면 터지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로드 밸런서는 어떤 식으로 트래픽을 분산시킬까요?흔히 쓰이는 알고리즘Round Robin라운드 로.. 2023. 4. 1.
도커(Docker)가 뭐고 어디에 쓰는걸까? 도커(Docker)가 뭐고 어디에 쓰는걸까? 요즘 도커(Docker)라고 불리는 기술이 굉장히 인기가 많습니다. 개발자로서 아래의 이미지의 파란색 고래를 한 번쯤은 보신 적이 있으실텐데요. 이 도커! 도대체 뭐고 어디에 쓰는 걸까요? 간단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도커가 뭐야? 도커(Docker)는 쉽게 말해 가상머신(VM) 같은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근데 가상머신의 단점을 빼고 장점만 모은겁니다. 가상머신이 뭘까요? 저는 몇 년째 맥북을 쓰고 있는데, 가끔 어렸을 때 하던 메이플스토리가 하고 싶을 때가 있어요. 하지만 맥북에서는 메이플스토리가 돌아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맥북에 원도우를 깔아서 메이플스토리를 하곤 했습니다. 이때 MacOS가 돌아가고 있는 상태에서, 또 다른 OS인 Windows를 가상머신의 형태로 설치한 겁니다. 이런 가상머신.. 2022. 8.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