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자 읽는법, 옛날 시계 보는 법
로마자 읽는법, 옛날 시계 보는 법
로마자?옛날 유럽에서는 로마자라고 불리는 영어 알파벳 같이 생긴 문자들을 숫자로 사용했습니다. 요즘에는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지만 가끔 시계나 책의 목차 등에서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우리가 흔히 아는 숫자 (1, 2, 3, 4 등)는 아라비아 숫자라고 하는데 로마자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상식 삼아 로마자 읽는 법을 알아둬도 나쁠 건 없습니다. 로마자의 기본적인 구조우선 우리에게 이미 익숙한 아라비아 숫자의 구조를 생각해 볼까요? 우선 숫자의 구성 요소는 1, 2, 3, 4, 5, 6, 7, 8, 9, 0 이 10개가 끝입니다. 모든 숫자는 이 10개의 숫자 기호들을 규칙에 맞춰 조합해서 만듭니다.구체적으로는, 10진법 기준으로 뒤에서 부터 자리에 따라 10을 곱해야 합니다. 123가 있으면 ..
2021. 9. 28.
프로그래머가 되기 위해 알아야 한다고 하는 이산수학이란 무엇일까?
프로그래머가 되기 위해 알아야 한다고 하는 이산수학이란 무엇일까?
초등학교 때 부터 시작해 고등학교 3학년까지 우리는 10년 넘게 수학을 붙들고 있지만, 이산수학이라는 용어도 그렇고, 이산수학 내용이 우리에게는 많이 낯설 수 밖에 없습니다. 그도 그럴게,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은 보통 연속수학(Continous Mathematics)이라고 불리우는, 연속된 대상을 다루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연속된 대상이라는게 뭘까요? 1과 2를 상상해 보세요. 1과 2 사이에는 1.1, 1.2, 1.3 등 소수가 무한히 많습니다. 즉, 연속적입니다. 셀 수가 없습니다. 이와는 반대로 이산수학은 자연수(1, 2, 3 ...), 정수(마이너스, 0, 자연수를 합친 것) 같이 딱딱 나눌 수 있는 대상을 다룹니다. 정수나 자연수 뿐만 아니라 경우의 수나, 논리학 같은 대상이 이런 이산수학..
2021.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