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학/기타

로마자 읽는법, 옛날 시계 보는 법

by 개발자 진개미 2021. 9. 28.
반응형

로마자?

옛날 유럽에서는 로마자라고 불리는 영어 알파벳 같이 생긴 문자들을 숫자로 사용했습니다. 요즘에는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지만 가끔 시계나 책의 목차 등에서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숫자 (1, 2, 3, 4 등)는 아라비아 숫자라고 하는데 로마자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상식 삼아 로마자 읽는 법을 알아둬도 나쁠 건 없습니다.

 


로마자의 기본적인 구조

우선 우리에게 이미 익숙한 아라비아 숫자의 구조를 생각해 볼까요? 우선 숫자의 구성 요소는 1, 2, 3, 4, 5, 6, 7, 8, 9, 0 이 10개가 끝입니다. 모든 숫자는 이 10개의 숫자 기호들을 규칙에 맞춰 조합해서 만듭니다.

구체적으로는, 10진법 기준으로 뒤에서 부터 자리에 따라 10을 곱해야 합니다. 123가 있으면 3는 1을 곱하고, 2는 10을 곱하고, 1은 100을 곱합니다. 숫자가 커져도 이 단순한 규칙은 계속됩니다.

비슷하게 로마자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 로마자의 구성

아라비아 숫자에 1, 2, 3, 4, 5, 6, 7, 8, 9, 0이 있었듯, 로마자에는 7개의 요소들이 있습니다.

I 1
V 5
X 10
L 50
C 100
D 500
M 1000

우선 가장 먼저 이걸 외워야 합니다. 귀찮다면 I, V, X만 외우셔도 괜찮습니다. 어차피 로마자로 50 이상의 숫자를 쓰는 일은 거의 없기 때문에...

 

🐜 로마자의 규칙

우선 4가지 규칙이 있습니다.

  1. 작은 값이 왼쪽에 오면 빼자 (IV = 15 = 5 - 1 = 4)
  2. 큰 값이 왼쪽에 오면 더하자 (VI = 51 = 5 + 1 = 6)
  3. 같은 기호는 최대 3번까지 사용할 수 있다 (III = 3, XXX = 30)
  4. V, L, D는 반복할 수 없다

하나의 숫자를 쓰는 여러 가지 방법

로마자의 일부 숫자들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9를 봐 보겠습니다. 49는 아래와 같이 2가지 방법으로 쓸 수 있습니다.

  1. 50 - 1 = IL
  2. 40 + (10 - 1) = XLIX

50까지 로마자로 써 보기

1 I
2 II
3 III
4 IV
5 V
6 VI
7 VII
8 VIII
9 IX
10 X
11 XI
12 XII
13 XIII
14 XIV
15 XV
16 XVI
17 XVII
18 XVIII
19 XIX
20 XX
21 XXI
22 XXII
23 XXIII
24 XXIV
25 XXV
26 XXVI
27 XXVII
28 XXVIII
29 XXIX
30 XXX
31 XXXI
32 XXXII
33 XXXIII
34 XXXIV
35 XXXV
36 XXXVI
37 XXXVII
38 XXXVIII
39 XXXIX
40 XL
41 XLI
42 XLII
43 XLIII
44 XLIV
45 XLV
46 XLVI
47 XLVII
48 XLVIII
49 XLIX
50 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