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IT

스마트 전등 스위치, 원리 이해해서 교체하기

by 개발자 진개미 2024. 6. 4.
반응형

문제의 발단... 두둥!

새로운 집에 이사 가면 항상 걱정이 스마트 제품들 세팅입니다.

  • 기존에 있던 스마트 제품들을 가서도 잘 쓸 수 있을까?
  • 새로 사야 하는게 있으면 이거 사면 이 집에서만 쓸까 앞으로도 쓸 수 있을까?

특히 조명의 경우 전기 배선이랑 연결 돼 있어 설치도 힘들고, 조명 형태가 워낙 다양해서 항상 걱정이었습니다. 그러던 중... 새로 이사온 거실의 조명을 뜯어보니 아래와 같이 돼 있었습니다.

일단 여기서 멘붕이 왔습니다. 여태까지 제가 살던 집은 원룸이라 선 구조가 이렇게 복잡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취직을 하면서 오피스텔로 오면서 거실이 생겨 이렇게 복잡한 배선 구조를 처음 보게 됐습니다.

게다가 제가 가지고 있는 스위치들은 1구~3구까지 있었는데 저거는 4구짜리 스위치였습니다. 2구짜리 스위치로 예를 들면 전원선 1개랑 각 스위치마다 선 1개가 있는 구조로 돼 있습니다.

 

근데 저건 무슨 빨간선도 있고 4구 스위치인데 들어가는 선은 5개고... 대체 뭐지? 싶었습니다. 게다가 이건 전기 작업이니 함부로 이것저것 실험해 볼 수도 없어서 원리를 공부해서 설치해 보기로 했습니다.


전등 배선의 원리

전등 스위치를 까볼 일이 없어 잊기 쉽지만 전등 스위치도 중고등학교 과학 시간에 배우는 미니 전구로 하는 실험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 기본적으로 우리가 쓰는 전기는 전류가 발생시키는 에너지 입니다. 전류는 전자들의 흐르는 것을 말합니다. 선이 2개가 연결돼서 전자가 흐르는 게 전류의 예이고, 이를 에너지로 사용하는데 전기입니다.
  • 그림에서는 전구 입장에서는 밑의 회색 선과 빨간선과 스위치를 거쳐서 오는 위의 노란색이 연결되야 전기가 통하고 불이 들어옵니다.
  • 스위치는 빨간 선에서 노란선으로 가는 전을 끊거나 연결해서 전기를 통하게 하거나 안 통하게 하는 겁니다.

 

그렇다면 전구가 2개일 때는 어떻게 될까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아래와 같이 똑같은 구조로 2개를 만드는 겁니다.

  • 하지만 이렇게 하면 낭비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 빨간색선과 회색선은 2구 스위치에서는 같은 스위치가 쓰는데 굳이 2개를 놓을 필요는 없습니다.
  • 노란선만 2개로 빼고 회색과 빨간 선은 스위치가 연결하면 훨씬 효율적인 구조가 됩니다.

 

더 효율적인 구조


실전으로 가서...

자, 이제 원리를 이해했으니 실전으로 가 보겠습니다. 위에서 소개해 드린 스위치를 다시 보시면... 조금 다르게 보이지 않나요? 저는 스마트 홈을 세팅할 때마다 랜덤 한 배열로 보였던 선이 원리를 이해하니 역할이 다 보이는 게 굉장히 재밌는 경험이었습니다.🫣

  • 우선 빨간색 선은 서로 연결 돼 있으니 위에서 보여드린 더 효율적인 구조의 파란색 선의 역할을 하겠죠?
  • 그리고 각각의 스위치에는 선이 1개씩 연결 돼 있습니다. 은색과 갈색이 2개 연결 돼 있는 저 1개만 빼고... 그럼 저 은색 선이나 갈색 선중 1개가 위의 더 효율적인 구조의 은색 선 역할을 하겠네요.

제가 산 스마트 스위치는 2구짜리였는데요.

원리를 알았으니 이제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상관없다! 전원선만 잘 연결해 주고 원래 선이 3 구든, 4 구든, 같이 껐다 켰다 해도 상관없는 선들은 합쳐서 연결해 주면 그만입니다.

실제로 그렇게 해서 잘 동작하고 있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