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

백신은 위험할까? 백신의 원리

by 개발자 진개미 2021. 7. 29.
반응형


백신의 원리?

백신은 사실 마법 같이 우리 몸을 질병으로 안전하게 하는 건 아닙니다.

우리 몸의 먼역면역 체계는 원래 병원체의 침입을 받으면 각종 세포들이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B 세포 등) 열심히 싸웁니다. 이 싸우는 과정은 며칠이 걸리기도 하고 이 과정에서 우리 몸이 열도 나고 기운도 없어지면서 아프게 됩니다. 면역 체계가 성공적으로 병원체를 물리치면 같은 병원체가 다시 침입했을 때는 아프지 않고 바로 무찌를 수 있도록 이 병원체의 정보를 기억 세포가 기록하게 됩니다.

 

이 원리를 활용해서 살아 있는 진짜 병원체 대신에 여러 방식으로 약화된 병원체를 미리 주입해 기억 세포가 기억하게 하는 겁니다. 여기서 어떤 병원체를 주입하냐에 따라 백신의 종류도 나뉘게 됩니다.

불활화 백신 병원체를 죽여서 항원만 주입
악독화 백신 약하게 만든 병원체 투입
mRNA 백신 병원체 유전자 (mRNA)만 주입
단백질 서브유닛 백신 병원체의 항원 단백질만 주입
백터 백신 무해한 바이러스에 병원체 유전사 삽입

백신은 위험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백신은 위험하지 않습니다.

이건 백신이 사망 사례나 부작용이 없다는 말은 아닙니다. 그런 사례는 당연히 있겠지만, 백신을 맞지 않아서 감염병이 돌아 겪는 고통과 사망자 수에 비교해 봤을 때 백신은 너무 안전해서 사실상 안 맞을 이유가 없다는 겁니다.

우리는 판단을 할 때 논리와 숫자로 하기 보다는 기분과 감정에 의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행기는 차 보다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안전합니다. 근데 비행기가 사고가 날 때는 탄 사람들이 대부분 사망한다는 두려움 때문에 비행기의 사고 확률을 훨씬 과대 평가합니다. 우리가 숫자를 보고 논리적으로 판단하지 않는다면 비행기는 이미 충분히 안전함에도 자동차 사고를 줄이는 거보다 비행기 사고를 줄이는데 더 많은 예산을 투자할 수도 있습니다.

 

조금 덜 위험해진 '자동차' 좀 더 위험해진 '열차·비행기·배' - 신아일보

지난해 우리나라 교통사고 건수가 도로 분야에서 감소했지만 철도·항공·해양 분야에선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교통사고의 대부분은 도로 위에서 발생하는데 정부는 도로 교통안전을...

www.shinailbo.co.kr

 

백신도 마찬가지 입니다. 백신을 맞지 않아 전염병이 돌아서 사망하는 숫자백신의 부작용으로 사망하는 숫자에 비해서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낮음에도 백신으로 인해 전염병이 안 도는 혜택은 당연하게 생각하게 되니 백신의 부작용에만 눈이 쏠리게 됩니다.

실제로 부작용 논란이 많았던 코로나 19 백신조차도 인도 기준으로 사망률은 0.0001%에 지나지 않습니다.

 

COVID-19 vaccination in India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Immunisation programme against COVID-19 in India India began administration of COVID-19 vaccines on 16 January 2021. As of 4 March 2023[update], India has administered over 2.2 billion doses overall, including first,

en.wikipedia.org


그대로 나 하나 정도는 안 맞아도 되는거 아니야?

사실 맞습니다. 사회 구성원의 대부분이 백신을 맞았다면 집단 면역이라는게 생겨서 감염병이 쉽게 퍼지지 못해 안전합니다. 물론 집단 면역은 감염병이 퍼지기 어려워서 내가 감염될 확률을 낮추는 거뿐이지, 내가 실제 그 병이 걸렸을 때의 증상을 완화해 주지는 못 하기 때문에 나 자신을 위해서라도 백신은 맞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그 전에, 만약 이런 생각을 가지고 모두가 백신을 안 맞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당연히 집단 면역이 일어날 수 없을 겁니다. 

집단 면역이 효과적으로 생기기 위해 필요한 백신 접종 %를 구하는 공식이 있는데요, 이 공식을 보면 특정 감염병이 얼마나 잘 퍼지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 1 - \frac{1}{R_0} $$

이 공식에 따라 계산해 보면 유명한 전염병이 집단 면역을 가지기 위해 필요한 백신 접종 비율을 아래와 같습니다.

  • 홍역: 92%
  • 수두: 90%
  • 백일해: 94%
  • 소아마비: 86%
  • 코로나19: 60-90%
  • 독감: 44%
  • 사스: 50%

백신 접종 비율이 비교적 낮은 경우도 있지만 많은 경우 90%가 넘어갑니다. 백신은 모두가 맞을 수 있는 게 아닙니다. 면역 체계에 심각한 문제가 있거나 백신 성분에 알레르기가 있어 맞고 싶어도 못 맞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나 하나만...이라는 생각으로 백신을 맞는 비율이 줄게 되면 집단 먼역이 뚫려 이런 분들이 백신을 안 맞은 상태에서 저 끔찍한 감염병들을 겪어야 하기 때문에 치명적입니다.

이상적인 사회에서는 이런 내용을 잘 설명하고 모두 잘 이해해서 각자가 자유롭게 결정을 내리면 되겠지만, 현실적으로 그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정부에서는 치명적인 감염병의 백신 접종을 사실상 강제합니다.


참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