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 9

🐣 과학의 답은!? 닭이 먼저일까? 달걀이 먼저일까? 🐣 과학의 답은!? 닭이 먼저일까? 달걀이 먼저일까? 뭐가 문제야?🐥 닭은 🥚달걀에서 태어납니다.하지만 🥚달걀은 🐥 닭이 낳습니다.그럼 계속 앞으로 가서... 최초의 🐥 닭은 어디서 태어났을까요?최초의 🥚달걀은 어떤 🐥 닭이 낳았을까요?🐥 닭이 먼저일까요 🥚달걀이 먼저일까요?이 문제는 사실 과학적인 답이 있다많은 분들이 이 질문에는 명확한 답이 없다고 합니다. 사실 답이 없긴 합니다. 하지만 명확하게 답이 없다는 답이 있습니다. (❓)답은... 어느쪽도 먼저가 아니다 하지만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2가지 선수 지식이 있어야 해서 먼저 이걸 이해하기 쉽게 알려 드리겠습니다.본질주의 (Eseentialism)진화론 (Evolution Theory)본질주의 (Essentialism)모든 것이 그 특징을 나타나게 하는 본질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 .. 2024. 8. 6.
과학 잡지 스켑틱 (Skeptic) 구독 후기 과학 잡지 스켑틱 (Skeptic) 구독 후기 Skeptic 잡지란?Skeptic은 대표적인 과학 잡지 중에 하나입니다. SkepticPopular Science. Nonpartisan. Reality-Based.www.skeptic.com 과학적 회의주의자로 유명한 마이클 셔머라는 분이 처음 만들었고, 공식 한국어판이 2015년부터 출간되고 있습니다. 한국어 판에는 한국에서 유명한 과학 교수님들이 투고하시기도 합니다.일반적으로 큰 주제가 있고 그 주제에 관한 여러 학자들이 생각이나 이론, 에세이 등이 소개됩니다.과학적 이론을 깊게 설명하거나 최신 과학적 발견들을 소개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뉴턴과 스켑틱의 차이?과학 잡지라고 하면 보통 뉴턴이 떠오릅니다. 스켑틱은 뉴턴에 비하면 잘 알려지지 않은 편입니다. 과학 잡지 뉴턴 1년 구독 후기2020년.. 2021. 8. 17.
물리 2 - 측정은 물리학의 시작이자 끝 물리 2 - 측정은 물리학의 시작이자 끝 측정이 물리학에서 중요한 이유물리학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온갖 현학적이고 문학적인 표현을 걷어내면 물리학은 결국 자연 현상을 묘사하는 이론과 법칙을 찾는 학문입니다. 이 이론과 법칙은 구체적인 수학적 공식일 수도 있고 다소 추상적인 표현이나 물리량일 수도 있습니다.문제는 같은 현상도 여러 다른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겁니다. 이건 물리학만의 문제도 아닙니다. 아래와 같은 이미지가 있다고 해 보겠습니다.어떤 사람은 이걸 보고 꽃이라 할 수 있고, 어떤 사람은 핼러윈 장식품이라 할 수도 있고, 어떤 사람은 사과나 토마토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3개 중 어느 것도 확실히 맞다고 하기 힘들고, 확실히 틀리다고 하기도 힘듧니다.여기서 만약 더 선명한 사진이 온다면 어떨까요?이 사진을 보고 고속도로가 .. 2021. 8. 4.
물리 1 - 물리학이 무엇일까? 물리 1 - 물리학이 무엇일까? 소개과학을 좋아하는 사람은 유독 물리학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다. 유명한 과학자인 어니스트 러더퍼드는 "물리학 이외의 과학은 우편수집"이라 말했다. 이 말은 물리학 이외에 화학이나 생물학, 지구과학 같은 과학은 사실 생각해보면 단순히 현상을 묘사하는 것 이상의 원인을 밝히지는 못 하기 때문이다. 이 물질과 이 물질이 만나면 이 물질이 된다, 이 물질은 이런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몸 안에서 이런 작용을 한다 같은 설명은 모두 관찰할 수 있는 사실들의 모음(우표수집)이다. 이 물질이 왜 이런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는 결국 물리학의 힘을 빌려야 한다.그렇기에 물리학을 매력적으로 느끼는 사람이 많은거 같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물리학이 뭘까? 물리학에서는 무엇을 연구할까? 물리학을 왜 배워야 할까? 물리학의 사전적 .. 2021. 8. 2.
백신은 위험할까? 백신의 원리 백신은 위험할까? 백신의 원리 백신의 원리?백신은 사실 마법 같이 우리 몸을 질병으로 안전하게 하는 건 아닙니다.우리 몸의 먼역면역 체계는 원래 병원체의 침입을 받으면 각종 세포들이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B 세포 등) 열심히 싸웁니다. 이 싸우는 과정은 며칠이 걸리기도 하고 이 과정에서 우리 몸이 열도 나고 기운도 없어지면서 아프게 됩니다. 면역 체계가 성공적으로 병원체를 물리치면 같은 병원체가 다시 침입했을 때는 아프지 않고 바로 무찌를 수 있도록 이 병원체의 정보를 기억 세포가 기록하게 됩니다. 이 원리를 활용해서 살아 있는 진짜 병원체 대신에 여러 방식으로 약화된 병원체를 미리 주입해 기억 세포가 기억하게 하는 겁니다. 여기서 어떤 병원체를 주입하냐에 따라 백신의 종류도 나뉘게 됩니다.불활화 백신병원체를 죽여서 항원만 주입.. 2021. 7. 29.
진화론은 정말 사실일까? 진화론은 정말 사실일까? 학교 과학시간에 짧게 진화론을 배우지만 비중 있게 다루지도 않고 특별히 관심이 있지 않는 이상 대충 넘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그런가 진화론을 생각하면 막연히 원숭이가 갑자기 진화해서 사람이 된다고 하는 게 진화론이라 생각하곤 합니다. 과학자들이 맞다고 하니 그려려니 하는데 이게 말이 되나 싶습니다. 하지만 진화론은 전혀 그런 것이 아니고, 차근차근 배워 보면 매우 논리적이고 압도적인 증거가 그 사실을 입증하고 있는 과학적 이론입니다.과학자들이 생각하는 진화론과학자들이 믿는다고 무조건 사실이라고 확신할 수는 없습니다. 과거에 과학 커뮤니티가 합의한 내용이 시간이 지나면서 아니라고 판명된 사례도 충분히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과학자들이 맞다고 생각하는 이론들은 다른 어떤 집단이 맞다고 생각하.. 2021. 4. 27.
심리학 수업을 듣고 알게 된 사실들 심리학 수업을 듣고 알게 된 사실들 원하지는 않았지만, 교양 필수로 심리학을 들었다. 처음에는 재미없을 거라 생각했는데, 의외로 재밌었고, 흥미롭고 일상생활에서도 도움이 될 만한 지식이 많았다. 오늘은 심리학 수업을 듣기 전에는 몰랐던 흥미로운 사실 5개를 알아보자. (시작하기 전에, 저는 심리학 전공자도 아니고, 심리학을 자세히 알고 있는 것도 아닙니다. 이 포스트는 제가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심리학 개론 수업에서 흥미로웠던 부분을 정리한 거뿐입니다. 따라서, 100%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공신력있는 정보 출처가 절대 아닙니다.) 심리학은 과학적인 학문이다.심리학 수업을 처음 들었을때 교수님이 한 말씀은, 심리학은 대중이 생각하는 이미지와 실제 학문이 다른 대표적인 학문이라고 하셨다. 우리는 흔히 심리학.. 2021. 4. 21.
과학 잡지 뉴턴 1년 구독 후기 과학 잡지 뉴턴 1년 구독 후기 2020년에 구독을 시작해서 2021년 현재까지 매월 집에 과학잡지 뉴턴이 도착한다. 벌써 뉴턴을 매달 읽은 지 1년이 됐다. 오늘은 과학 잡지 뉴턴을 1년 구독한 후기를 전하고자 한다. (참고로 뉴턴은 매월 1일이 오기 며칠 전에 배송된다. 예를 들어, 뉴턴 4월호는 3월 말, 25일~30일 사이에 배송되는 편이다.) 뉴턴을 구독한 이유우선 뉴턴을 구독한 가장 큰 이유는 교양으로써 과학에 대해 더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과학 지식은 현대사회를 살아가기 위해선 필수적이지만, 그렇다고 비전공자가 과학에 대해서 알고 공부하기는 쉽지 않다. 그런 취지에서 과학 잡지를 구독하고 싶었는데, 대부분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잡지였던 반해, 뉴턴은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교양 잡지였다는 점에서 매력적이었다.. 2021. 3. 29.
과학이란 무엇일까? 과학이란 무엇일까? 현대사회는 과학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학교에서 많은 시간을 과학을 배우는데 쓰지만, 정작 과학이 뭐냐고 물어보면 말문이 막히는 경우가 많다. '과학적'이라고 하면 과학적이지 않은 것보다 뭔가 더 확실한 느낌이 들고, 현대사회는 과학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과학은 과연 뭘까? 과학의 정의?과학은 쉽게 말해 과학적 방법론을 통해 얻어진 지식을 말한다. 하지만 이는 그래서 과학적 방법론이 뭔지 하는 의문을 여전히 우리에게 남겨준다. 그리고 과학적 방법론이라는 말을 듣는 순간 수업시간에 배웠던 고리타분한 이미지가 떠오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과학적 방법론은 전혀 어려운 것도 아니고, 지극히 상식적인 것이다.과학적 방법론이란 뭘까?과학적 방법론은 우리가 만약에 외계 생물체.. 2021. 3. 19.